본문바로가기 네비게이션바로가기

대한민국 리빌딩: 통합과 도약

문화미래리포트 2018

행사명 문화미래리포트 2018
Munhwa Future Report
주제 인간 진화와 AI 혁명
Human Evolution and AI Revolution
일시 2018년 9월 5일(수) 14:00 - 19:00
행사장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프로그램

2018년 프로그램 이미지

제1세션: AI와 인류

세션소개

다수의 AI 연구자는 수십 년 내에 AI가 일자리를 포함한 모든 면에서 인간보다 앞서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가 인간 지능의 한계가 아닌 물리 법칙의 한계에 의해 통제되는 세상이 도래하게 될 것이다. AI는 범죄, 전쟁, 정의, 일자리, 사회 및 인간다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소득이나 목적의식을 잃지 않도록 하면서 자동화를 통한 번영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인가? 오늘날 아이들에게 장래에 대해 어떤 조언을 해야 하는가? AI가 고장, 오작동 및 해킹의 위험 없이 우리가 원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떻게 보다 안정적인 AI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치명적인 자율살상무기 군비경쟁을 두려워해야 하는가? 결국 모든 면에서 기계가 인간을 압도하여 노동 시장에서 인간을 대체하고 더 나아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게 될 것인가? AI의 도움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번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관리 능력을 벗어날 정도의 힘을 얻게 될 것인가? MIT 물리학자이자 AI 연구자인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교수는 AI와 관련된 근거 없는 이야기로부터 실질적인 기회와 위협을 가려내고자 하며 지금까지의 인류사를 통틀어 형성된 개념 중 AI를 최악이 아닌 최고로 만들기 위해 오늘날 우리가 취해야 하는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생명의미래연구소(FLI) 설립자
MIT 물리학과 교수
맥스 테그마크(Max Tegmark)는 MIT교수로 물리학 및 AI 전문가이다. 퓨처 오브 라이프 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 설립자로서 기술의 긍정적 활용 가능성을 옹호하는 대변자로 활동 중이다. 200건 이상의 저술 활동을 하였으며, 전 세계 16개국 번역출간이 될 정도로 멀티 유니버스 이론의 권위자이다. 대표 저서는 「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 인공지능이 열어갈 인류와 생명의 미래」 ,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 – 우주의 궁극적 실체를 찾아가는 수학적 여정」 등이 있다.

전 UN 사무총장 반기문은 대한민국 제33대 외교통상부 장관 및 제8대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IOC 윤리위원장, 세계시민센터 공동위원장, 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소(GGGI) 의장 및 아시아 보아오포럼(BFA)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반기문은 2013년 미국의 경제 잡지 <포브스>;가 선정한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가운데 한국인 중 가장 높은 32번째로 선정됐다.

학력 1992.06.~1994.06. Max-Planck-Institute for Brain Research Brain Systems Research 박사
1991.06.~1992.06. Max-Planck-Institute for Brain Research Cognitive Psychology 석사
1987.09.~1991.05. Darmstadt University of Technology Departments of Psychology, Computer Science 학사

경력 2017.03.~2020.02 KAIST KAIST 지정석좌교수
2017.03.~현재 KAIST 제4차산업혁명 프론티어 리더십 프로그램 비학위과정 책임교수
2017.03.~현재 KAIST SK하이닉스-KAIST 프론티어 리더십 프로그램 비학위과정 책임교수
2011.07.~현재 KAIST KOLON-KAIST LifeStyle Innovation Center 소장
2009.10.~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주요논저 2017.03.~2020.02 KAIST KAIST 지정석좌교수 2017.03.~현재 KAIST 제4차산업혁명 프론티어 리더십 프로그램 비학위과정 책임교수
2017.03.~현재 KAIST SK하이닉스-KAIST 프론티어 리더십 프로그램 비학위과정 책임교수
2011.07.~현재 KAIST KOLON-KAIST LifeStyle Innovation Center 소장
2009.10.~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기타 2015.03.~현재 건명원, 과학분야 운영위원

제2세션: AI와 산업

세션소개

기계는 그 행동을 통해 기계 스스로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범위 내에서 지능적이라고 간주된다. AI는 지능형 기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분야로 1950년대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오늘날 다양한 산업군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러 기술을 이끌어 냈다. 최근에는 주로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한 AI 시스템이 사물 인식, 음성 인식, 기계 번역 및 게임과 같은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덕분에 교통, 제조업, 농업, 광업, 건설, IT, 교육, 엔터테인먼트, 금융, 헬스 케어 및 국방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AI 연구 및 개발에 대한 막대한 투자 동기가 생겨났다. 본 기조강연을 통해 최근의 성공사례와 단기적인 발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특히 언어 및 인간 행동 모델링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비롯된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I 시스템은 현재 인간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은 물론, 전 세계를 단번에 구경하고 살펴보거나 인류가 지금까지 작성한 모든 기록물을 읽는 것과 같이 우리가 할 수 없는 일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미래를 내다볼 때, 지능형 행위의 많은 부문에서 AI 시스템이 인간을 앞설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스티븐 호킹, 빌 게이츠, 그리고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저명한 인사들은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경고한 바 있다. 정말 이를 걱정해야 하는가? 만일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AI 커뮤니티 내 어떤 이들은 이러한 우려를 일축하지만, 스튜어트 러셀 교수는 AI 부문의 근본적인 방향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임의의 목표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에게 도움이 될 시스템을 구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달성하고자 하는 인간의 진정한 목표에 관한 명백한 불확실성을 그 시스템에 포함시키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이번 강연에서 보여 줄 것이다.

생물학적 데이터의 수집 및 이용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
UC Berkeley 전기 공학 및 컴퓨터공학 교수
스튜어트 러셀(Stuart Russell)은 인공지능(AI)의 이해와 활용, 장기적 관련 전망, 인류와 AI의 관계에 대한 개척자이며, 로봇 공학 및 생물 정보학의 최고 권위자이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지식, 추론, 머신 러닝에 대한 세 권의 책을 저술, 혹은 공동 저술하였으며, 그 중에는 인공지능 분야의 표준 교과서도 포함되어 있다. 현재 UC 버클리의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공학 교수이자, UC 샌프란시스코의 신경외과학 겸임 교수이다.

㈜솔트룩스 대표이사, 사장 사업분야: AI, 인공지능SW, 빅데이터 심층 분석
現) 인공지능산업협의회 회장
現) 지능정보산업협회 부회장
現)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특임교수
現) 엑소브레인/EU-LARKC 외 연구책임자
現)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민간위원
現) 지능정보기술포럼 부의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능정보기술전략위원
前) KM&ECM 협의회장 / 미래창조과학부 빅데이터 자문위원
前)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겸임교수
2017년 서울시 사회공헌대상
2016년 대한민국 데이터그루 대상
2013년 가족친화기업 대통령표창
2011년 대한민국 산업포장훈장 수훈
2010년 대한민국 SW대상 대통령상
인공지능, 자연언어처리, 빅데이터 관련 논문 50여 편 (다수 SCI 논문 포함)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특허 70여 편
국내외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 관련 세미나 발표 500여 건
The Marquis Who’s Who 등재

KAIST 기계공학 석사, 박사 現 (주)퓨처로봇 대표이사
現 한국로봇산업협회 임원
現 한국로봇학회 이사
現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이사
現 더불어민주당 지능형로봇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신성장특별위원회 위원, (사)혁신경제 이사
前 삼성전자 CTO전략실 기술기획, 전략(지능형로봇 담당)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의료로봇 1호 박사학위(로보틱스 및 제어)를 취득하였고, 삼성전자 메카트로닉스센터, 생산기술연구소 및 CTO 전략실에서 지능형 서비스로봇 PM(기술총괄)을 역임하였다. 2009년 퓨처로봇을 창업하여 국내 1세대 서비스로봇 리딩업체로서 세계 20여 개국에 현지 파트너십을 구축하였고, 글로벌 서비스로봇 산업과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주요 외부강연(도산아카데미, CES 2015 Robotics Conference, 아주 CEO 포럼, 서울포럼, 싱가포르 SME EXPO 등)을 통해 “로봇빅뱅, 코리아 파워 및 퍼스널로봇(홈로봇) 시대, Social Robot과 AI의 미래전망” 등을 주제로 한 발표활동을 펼치고 있다.

제3세션: AI와 한국 사회

세션소개

인공지능(AI)은 한국의 기업과 소비자 및 정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일반 대중의 AI에 대한 개념은 대단히 오도되어 있다. 인공지능에 대한 가장 흔한 정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간의 지능을 재창조하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분야를 잘 이해하는 방법은, AI는 오랜 자동화 증대 노력의 확장이라고 보는 것이다. AI의 실제 정체와 AI 활용방법 및 AI가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통해, 한국은 AI 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 AI는 미래에 선을 지향하는 세력이 될 것인가, 즉 빈곤과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위험하고 더러운 직업을 없애며 국제 관계를 증진시키고 부와 편리를 증대시킬 것인가? 아니면 그 반대가 될 것인가, 즉 대중에 대한 억압을 키우는 도구로 이용되거나 더욱더 치명적이고 효율적인 전쟁을 수행하는 데 동원되거나 근로자의 일자리를 빼앗거나 심지어 인류를 절멸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인가? AI의 미래는 어느 쪽이든 가능하지만, 둘 다 확실하지도 않고 개연성도 없다. 그보다는 선과 악의 요소가 혼합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 균형추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 중 어느 쪽으로 기울 것인가는 전적으로 인류에게 달려 있다.

실리콘 밸리 기업가, 인공지능 혁신의 대표주자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제리 캐플런(Jerry Kaplan)은 태블릿 컴퓨터 업계의 확립에 크게 기여한 실리콘 밸리의 베테랑 기업가이다. 그는 고 코퍼레이션(GO Corporation), 테크놀리지(Teknowledge), 세계 최초의 인터넷 경매 사이트인 온세일(Onsale), 윈스터닷컴(Winster.com) 등 여러 기술 기업을 설립하였으며, 이 중 두 곳은 상장 기업이 되었다. 캐플런은 현재 스탠포드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법정보학센터(The Center for Legal Informatics) 연구원이자, 세계 최고 명문 공대인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방문교수로서 ‘인공지능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경력 2017~ UNIST(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부교수
20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UNIST 설명가능인공지능 연구센터, 센터장
2017~2020 POSCO 철강 전문 교수
2017~2018 LG전자 소재부품연구소, 자문교수
2016~ UNIST 산업인공지능 연구센터, 센터장
2013~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겸임 연구원
2013~2017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조교수
2012~2017 Program Committee, ICML AAAI, IJCAI, UAI

주요 업적 2017.05 딥러닝 기반 고로 제어(세계 최초 AI기반 고로 자동조업)
2016 다중 시계열 데이터 자동 분석보고서 작성 시스템(ICML)
2015.08 세계적 수준의 의미기반 영상 분할 기술(Global Deconvolutional Network) 개발 - PASCAL VOC 2012 세계 10위권
2012 세계 최초의 선형 시간 관계형 칼만 필터 기술(IJCAI)

수상 내역 2018 Game AI Tournament, 제 4회 UEC-cup Digital Curling 대회 1위
2017 Game Playing Workshop 주관 Digital Curling 대회 1위
2016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dical Imaging 주관 2016 영상 기반 피부암 검출 대회 3위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Intelligence

학력 2002 스탠퍼드대학교 Business School, Executive Program
“Strategies for IT Industries and Entrepreneurship”
1979 - 1983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전산학 박사
1977 - 1979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시스템공학 석사
1967 - 197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사

주요 경력 2016.08 ~ ㈜인공지능연구원 원장
2013.12 ~ 2016.07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1985 ~ 카이스트 교수 (현재 명예교수)
2013.12 ~ 2017.12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장
2018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한국정보과학회 명예회장, 국제패턴인식학회 Fellow,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로회원

수상 내역 2018 제33회 21세기대상 기술부문대상 부문 수상
2017 제13회 한국공학한림원 일진상 산업협력증진 부문 수상
2015 제47회 과학의 날, 제60회 정보통신의날 동탑산업훈장 3등급
2012 제1회 비트학술상 최우수상
2010 제5회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개인공로 부문), 방송통신위원장상
2010 대통령상 문화체육관광부 한글발전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