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네비게이션바로가기

대한민국 리빌딩: 통합과 도약

세션소개

1세션    국민통합과 민주주의 리더십
(Public Unity and Democratic Leadership)

강연 1 대런 애스모글루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경제학과 교수
강연 2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학교 정치학과 석좌교수
좌장 최병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패널 서정건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국내 정책과 외교 정책에서 갈등과 분열을 초래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는 정치적 양극화를 해결하고 국민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을 이뤄낼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합니다.
  • 전 세계에서 부는 정치적 양극화는 한국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각종 정책 추진 과정에서 편 가르기가 이뤄지고 사회의 갈등과 분열이 심각해졌습니다. 민주주의 꽃이라는 선거에서 오히려 이러한 정치적 양극화가 더욱 격렬해지는 양상을 보이면서 선거가 통합이 아닌 분열의 장으로 변질돼 가고 있습니다. 정치적 양극화로 인해 갈등과 분열이 심각해지는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국민통합과 함께 민주주의 정신을 회복해 한국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또 이를 위해 민주주의 체제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갖춰야 할 바람직한 리더십에 대한 탐색도 이뤄질 것입니다. 정치적 양극화는 최근 재편되는 국제질서에서도 모습을 드러내면서 신냉전은 물론 각국 대외 정책에서 극단적 대립을 낳고 있습니다. 한국도 외교·통상 정책 방향을 놓고 국론 분열 양상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이 통합과 도약을 이루기 위해 정치가 맡아야 할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2세션   팬데믹 이후 새로운 발전모델
(A New Model for Advancement Post-Pandemic)

강연 1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
강연 2 로버트 배로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좌장 이종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패널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코로나19 팬데믹이 마무리되는 시기에 글로벌 경제적 상황을 분석하고 한국 경제의 새로운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은 경제적 위기를 극복할 해법으로 작동해왔습니다. 그러나 계속된 유동성 증가는 자산 버블 현상을 초래해 계층 간 경제적 양극화와 정치적 대립을 심화시키는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또 정치권은 선거를 의식해 포퓰리즘적 정책에 기대면서 재정·통화정책 정상화나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비전 마련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OECD는 최근 보고서에서 2030~2060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연간 0.8%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재정·통화정책 정상화에 들어가면서 코로나19로 훼손된 경제 기반을 다질 새로운 방안 마련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현재 세계적인 경제 흐름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또한 한국 경제가 저성장이라는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이를 키우기 위한 정책 방안도 살펴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