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네비게이션바로가기

대한민국 리빌딩: 통합과 도약

제2세션

연사소개

  • 세계 3대 혁신 철학가

    연사 |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

    로버트 앳킨슨 회장은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정책 싱크탱크로 인정받는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ITIF)의 설립자 겸 회장이다. 기술 혁신과 공공 정책의 교차점에 있는 수많은 중요한 이슈에 대해 논의를 성공적으로 형성하고 의제를 설정하는 정책 분석가와 펠로로 구성된 팀을 이끌고 있다.
    그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학자이자 인기 작가로, 뉴 리퍼블릭은 "혁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선정했고, 워싱토니언 매거진은 "기술 거물"이라 불렀으며, 정부기술매거진은 "정보기술의 실천가, 몽상가 그리고 추동자" 25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와튼스쿨은 "와튼 인포시스 비즈니스 혁신상"을 수여했다.
    인기 있는 연사이자 전 세계 정책입안자들의 귀중한 조언자인 앳킨슨 회장의 최근 저서로는 『큰 것이 아름답다: 중소기업이라는 허구를 파헤치다(Big is Beautiful: Debunking the Myth of Small Business』 (MIT 프레스, 2018), 『혁신 경제학: 세계적 우위를 위한 경쟁(Innovation Economics: The Race for Global Advantage)』 (예일, 2012) 등이 있다. 그는 또한 조세 정책에서 첨단 제조, 생산성, 글로벌 경쟁력에 이르는 기술 및 혁신 관련 주제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수백 개의 기사와 보고서를 집필했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의 중-미 혁신정책 전문가 그룹의 공동의장직과 미국 상무부의 혁신 및 기업가정신에 관한 국가자문위원회 위원, 미국 국무부의 국제 연락 및 정보에 관한 자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앳킨슨 회장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서 도시 및 지역 계획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권위 있는 조지프 포그 펠로십을 수상했다. 오리건대학교에서 도시 및 지역 계획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 신고전주의 거시경제학 창시자

    연사 | 로버트 배로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로버트 배로 교수는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교수(Paul M. Warburg Professor)이자 미국기업연구소 방문연구원, 전미경제연구소 연구원이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하버드 계간 경제학저널 공동편집자이며 이전에는 미국 서부경제연합회 회장, 전미경제학회 부회장, 비즈니스위크 칼럼니스트(viewpoint columnist), 월스트리트저널 편집위원(contributing editor)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로는 경제 성장에 대한 제도, 국제 무역 및 기타 변수의 영향, 공공부채 및 재정적자의 경제적 효과, 종교의 경제학 등이 있다. 최근 연구의 한 부분으로 보기 드물긴 하지만 극단적 재난이 자산시장 및 거시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으며, 이를 안전자산 수량 및 스톡옵션 가격책정에 응용한다. 이 연구는 현재 코로나 위기로 인한 결과를 이해하는 데 적용되고 있다.
    저서로는 『종교의 풍요(The Wealth of Religions)』 (레이철 매클리어리 공저), 『경제성장』 (제2판, 하비에르 살라이마틴 공저), 『거시경제학』, 『신성한 것은 없다: 21세기 경제사상』, 『경제성장의 결정요인(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자유시장경제를 위한 바른 길』, 『전 세계 교육 및 현대화, 19세기부터 21세기까지(Education and Modernization Worldwide, from the 19th to 21st Century)』 (이종화 공저)가 있다.

  • 거시경제 분야의 저명 학자

    좌장 | 이종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종화 교수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현재 정경대학장과 정책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수석 이코노미스트(chief economist)와 조사국장, 지역협력국장, 청와대의 국제경제보좌관과 G20 셰르파(교섭 대표)를 역임한 바 있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제통화기금(IMF) 이코노미스트, 전미경제연구소(NBER)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교수, 컬럼비아대학교·하버드대학교·호주국립대학·후버연구소의 초빙교수로 경제학자의 길을 걸어왔다. 현재 한국경제학회 회장이며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 한국경제학회 부회장, 한국금융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경제성장, 인적자본, 개방거시, 금융위기, 경제통합 등 거시경제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여 경제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를 비롯한 국제 저명학술지에 100편이 넘는 영문 논문을 게재하였고 독창적인 연구로 세계경제학계의 후속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학술 공적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인촌상, 다산경제학상, 매경이코노미스트상, 한국경제학회 청람상을 수상하였다.

  • 국제 경제와 거시경제 전문가

    패널 |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교수는 현재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경제 학사, 석사)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제금융, 국제경제와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주목받는 연구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금융경제팀 연구위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경제학회, 한국금융학회, 한국재정학회, 한국국제금융학회 등 주요 학회의 이사를 역임했거나 재직 중이고, 국내외 주요 학술지들의 편집위원, 편집위원장이기도 하다. 한국금융학회 부회장, 한국경제학회 감사를 지냈고, 현재 한국국제금융학회 부회장이다.
    KAIST 개교35주년 기념 우수교원표창, KAIST 우수강의평가상, 연세대학교 우수강의교수상, 초헌학술상, 한국증권학회 우수논문상,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교수상-연구부문 최우수상 등 여러 학술∙교육관련 상을 수상했으며, 한국경제학회에서 만 45세 미만 가장 뛰어난 연구실적을 보인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한국경제학회 청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부장,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학장을 지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교무처장을 맡고 있다.